23.01.16 빌런뉴스 금리가 인플레이션을 잡는.EU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3011609591987052
최저임금보다 높은 소비자물가 상승률… 실질임금 뒷걸음질
2일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2023년 시간당 최...
news.imaeil.com
이제야 이 말을 꺼낼 수 있을것 같음
우리 현명한 빌붕이들은 알겠지만
인플레이션의 진짜 의미가 뭔지 알아?
화폐가치가 하락한다는거야.
물가 상승은 그에 따른 현상이나 해설의 방법이고
다시 말해서 '물가가 올랐다'라는 현상이 아니라
'화폐가치가 떨어졌다'를 의미하는거라고
짜장면 값이 6000원에서 7000원이 되는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음.
먼저 사장님 이슈가 있을 수 있음.
갑자기 급쩐이 필요해져서 가격 인상
아니면 월세가 올라서 인상
제도적 이유가 있을수도 있을거임
최저임금 인상, 짜장면 가격 정가제
당연히 경제적 이유도 있을거고
밀가루 (원자재 가격 상승), 임대료 상승
이럴때는 물가가 올랐다고 안하고
짜장면 가격이 올랐다고 표현하잖아
인플레이션은 말이야,
화폐가치가 떨어져서
모든 가격이 올랐다는 뜻이야
그럼 역으로 생각해보자.
화폐 가치가 왜 떨어졌을까?
단순해. 화폐가 많아져서.
수요와 공급으로 떨어진거야
어쩌다가 화폐가 많아졌을까?
금리 때문이야.
금리가 낮으면 너도나도 레버리지를 쓰니까
화폐가 많이 풀리지
그러면 정리해보자.
물가의 상승은 화폐가 많아서 벌어진 현상이기 때문에
물가를 잡으려면 금리를 올리는 방향이 가장 직접적이다
병원가서도 그렇잖아
내가 지금 열이나는게
흥분해서 그런건지
감기걸려서 그런건지
코로나 걸린건지
의사쌤이 진단도해보고 필요하면 실험도 해보고
내가 흥분했는데 감기약을 주면 열이 내리겠니?
원인과 결과가 분명한거고
중학생때 배웠던 논리, 명제 부분이야기임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202301160141&t=NN
한은 최종금리 375로 올릴 확률 60인하는 내년부터
사상 첫 7연속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한 한국은행이 추가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그렇지 않을 가능성보다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유럽 투자은행(IB) BNP파리바는 16일 한국은행의 1월 기준금리 인상
www.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