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점
-
여행썰 - 2019년 마카오, 세금을 활용하는 방법자본주의 대나무숲 - 1 2020. 7. 18. 15:31
결국 여행 경비를 연구비로 다 탕진하고 나왔다. 그때 문득 떠오르는 생각이 돈의 가치가 가장 비이성적인 공간이 여행지/공항이라는 것이다. 모든 소비에는 세금이 따라붙는다. 지난 ‘18년 5월 어디선가 광주-제주 항공권이 2만원 밑에 팔리는 걸 보았고 머릿속으로 광주-제주 왕복하면서 면세 술, 담배, 향수만 떼다 팔아도 꽤 쏠쏠한 용돈벌이가 될 것 같다고 생각했다. 물론 안했다. 서울-광주 가는 교통비가 더 들었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면세 가격은 돈에 써있는 숫자의 실제 가치보다 세금만큼 더 비싸게 쳐준다는 꼴이다. 일반상점에서의 10만원은 세금을 고려하면 9만 원 정도의 가치가 있지만 면세점에서는 10만 원의 가치가 있다. 꼭 팔아서 차익을 만들려고 하지 않고 선물을 주더라도 더 좋은 선물로 줄 수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