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빌런
-
오펜하이머, 노벨상 그리고 주식 (1) - 수학 이야기생각 모음/주식생각 2023. 8. 14. 19:58
오펜하이머 내일 개봉한다며. 과학도로써 이 떡밥에 빠질 수가 없지. 믿던가 말던가 나는 생명, 화학을 전공했고 수학은 선형대수 ~ 미분 방정식 구간에서 포기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자역학이랑 수학에 상당히 관심이 있었음. 약간 지구 평평설, 음모론자 같은 소리지만 필즈상 수상하신 허준이 교수님이 그랬는지 슈카형이 그랬는지 아무튼 그런 이야기 했단 말임. 세상에 직관적으로 답이 될것 같은 것들을 아름다운 수식과 기술로 설명해내다보면 대자연에는 어떤 법칙이 있는건 아닐까? 예를 들어서 1, 1, 2, 3, 5, 8 로 앞에 2개 수를 더한 합이 이어지는 피보나치 수열과 어느항이든 뒤에거를 앞에것으로 나누면 1.618xxxx이라는 어느 값에 근사해진다는 비율이 있음. 이건 해바라기나 달팽이 같은 자연계 뿐 ..
-
나이 먹는게 두렵다. (feat appl)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3. 8. 13. 15:11
애플이 실적발표 이후 주가가 좀 많이 빠졌음. 사실 내 뇌피셜은 1. 꺾일 때 되었고, 2. 누군가가 팔았으니 떨어졌다.지만 겉으로는 새로운 기록을 갱신했어도 더 멋진 기록을 갱신하지 못했거나, 부진이 예상되면 주가가 떨어진거지 머. 나도 마찬가지임. 나는 스스로에 대한 기대치가 대다수 사람들의 기준보다 엄청 높아서 '이정도면 충분하다'라는 말도 잘 하지 않고 대충 그 목표치 근처가면 진짜 잘하는거긴함. 커리어나 학력만 봐도 중간에서 아래보다는 위에 위치한다고 생각해. 여기서 앓는 소리 내면 기만이고 과거를 부정하는거니까 잘난척 해도 됨.ㅋ 그런데 문제는 나이를 먹으면 먹을 수록 이 기대치가 스스로든 사회적으로든 엄청 높아진다는거임. 예를 들어서 중학생한테 미적분을 기대하지는 않지만 공대수준이면 생명, ..
-
천재의 증명은 범죄?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3. 7. 29. 20:49
여기서 말하는 천재는 단순히 학벌이 좋다. 직업이 좋다 이런 정량적 재능보다 정성적 재능을 말하는거임. 내가 좋아하는 개그맨이나 프로게이머 같은 천재들. 이러한 천재들이 범죄자가 되는 경우가 많은것 같음 프랭크 애버게일도 그렇고, 권도형도 그렇고 실존하는지는 모르겠지만 나가모토 사토시도 그렇고 금융 범죄 뿐 아니라 천재 살인마도 있잖슴 밝혀지지 않은 미제 살인사건들에 대해서 단서가 되었든 증거가 되었든 범행방법이 되었든 누구인지 찾지 못하게 하는 일종의 난제나 퀴즈를 만들어냈다면 천재라고 생각하고 비단 강력범죄가 아니더라도 어나니머스도 엄밀히 말하면 좋은 뉴스가 종종 떠서 그렇지 일종의 해킹 사이버 범죄 집단이고 전구를 발명한 에디슨도 직류가 안전하냐 교류가 안전하냐 증명하겠다면서 코끼리와 동물들을 감전..
-
포트폴리오 비율 추천생각 모음/돈 생각 2023. 7. 19. 18:51
최근 또코프로비엠에 숏치다가 또 큰돈 갈리고 한 2시간 걸리면서 생각 정리해봤음. 짧으면 몇년 길면 10년이 넘게 걸릴 수도 있는 빌드인데 중장기적으로 재테크 하면서 채워야할 나름의 포트폴리오 비율을 경험에 기반해 수학적으로 계산해봤음. 먼저 자기 실력 쌓고 검증하는 기간이 필요함. 특히 코로나 전후로 들어왔다가 큰 돈 벌고 큰 돈 깨지신 분들이 어느 정도 있으실텐데 2020년 그 수익률을 매년 지금까지 유지하지 못했을 확률이 가장 높고 잘하셨으면 플러스, 경험이었으면 본전도 괜찮은데 아마 마이너스 기록하신 분들이 많을거임. 빠떼리 아저씨는 아직 살아있는것 같은데 그렇게 님들이 좋아하던 삼프로도 민심 나락이고 아직까지 그런 경제/증권 뉴스 챙겨보는 분들 이제 없을걸? 솔직히 이 숫자는 최소 5년은 봐야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