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스터
-
포켓몬스터는 전략게임이다 - 3. 확률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9. 25. 01:45
그리고 확률 변수도 있음. 포켓몬스터 게임이 기본적으로 어드벤쳐의 장르를 띄지만 주 컨텐츠는 당연히 배틀이고 배틀의 요소에 확률도 매우 중요함 한때 롤에서 4망토 치명타 100% 진 빌드가 반짝한 시기가 있었음 자료 찾다가 캡쳐한 영상인데 아프리카 BJ 한 명이 15분만에 치명타 100% 템트리를 만들었음 15분 쯤에는 풀피가 보통 1000~2000대인데 치명타가 950이 떠버리는거임 진 궁극기 특성으로 치명타가 200% 로 들어간다고 하지만 존나 개사기였음ㅋㅋ 아래 영상은 룬을 사서 넣는 시즌이었는데 아래 영상의 1분 3초쯤 보면 제드 1:1 영상이 나옴 https://youtu.be/XugeFkNN7_E 점화까지 맞은 빨간 제드가 걍 무지성 맞다이하다가 치명타 터져서 라인전 솔킬 역전하고 시작함 ㅎㄷ..
-
포켓몬스터는 전략게임이다 - 2. 상성과 종족치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9. 25. 01:26
아마 기억할 친구들도 있겠지만 "효과는 대단했다" "효과가 별로 없는듯 하다" 이게 랜덤이 아니라 상성이었던거임 그들이 의도한건지 모르겠지만 포켓몬 원맨툴로 게임을 진행하라는게 아니라 밸런스를 맞추고 헷징을 하라는거였던것 같음 게다가 데리고 다닐 수 있는 포켓몬도 6마리로 제한되고 한 포켓몬만 계속 키우면 상성이 4배로 불리한 전투를 피할 수 없는데 이걸 분명히 피지컬로 깨려는 사람도 있을거임 특히 김치들 이걸 '확률' 시스템으로 막은거임. 상성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같은 공격이어도 물속성 포켓몬 꼬부기가 불속성 포켓몬인 파이리한테 물대포를 쓰면 효과가 2배가 됨 ㅎㄷ 그런데 꼬부기가 파이리한테 몸통박치기를 하면 효과가 딱히 대단하지는 않겠지 지금보면 당연한건데 게임에서도 되는지 상상도 못했지 체감만 ..
-
포켓몬스터는 전략게임이다 - 1. 인트로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9. 25. 01:01
연휴에 포켓몬스터 하다가 좀 더 집중적으로 탐구함 나는 투니버스 없이도 공중파에서 만화를 접한 90년대생인데 어렸을때 평일에는 포켓몬, 디지몬, 황금로봇 골드런, K캅스, 구슬동자, 쾌걸근육맨 2세, 구슬동자 이런걸 봤고 주말에는 디즈니 만화 동산보고 나이 좀 먹고는 밤에 투니버스에서 학교괴담인가? 고양이 나오는 공포만화랑 도라에몽 이누야샤 이런것도 봤던것 같음. 이게 얼마나 축복인지 공감할 수 있을거임 ㅋㅋ 부모님이 하는말이 절대 진리가 아니라는걸 인지하는 시점에 다시 한 번 순수함이나 상상력, 모험심 같은걸 자유롭게 상상할 수 있던 나이임ㅋㅋ 여튼 대부분 그렇겠지만 내가 가장 처음 접한 포켓몬스터는 게임이 아니라 만화였음. 빠라밤빰 빰빰빰 오늘의 포켓몬은 뭘까요 삐 삐카츄 하면서 실루엣만 보고 한마리..
-
연휴에 게임 졸라 많이 함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1. 9. 22. 23:42
최근 크래프톤 웨이라는 책을 봤는데 셀트리오니즘 같인 회사가 멋져요. 서대표님 멋져요 이런 글이 아니라 게임사 출신 블루홀이 테라로 망하고 내부에서 경영진이 싸우고 나가고 낭떠러지 끝 절벽에서 배틀그라운드로 회생하는 고군분투기를 봤단 말임. 그 책보면서 많은 생각을 했는데 1. 와 씨1바 좃될뻔 했다 2. 이대로 가도 좃될것 같은데? 게임이라는 장르가 변수가 엄청 많음. 물리적/기술적 오류나 버그 같은거 외에도 시대의 문화나 유행 소비자와 제공자의 가치, 수요와 공급, 행운까지 숫자로 예단할 수 없는거임. 어쩌면 바이오 산업처럼 개어거지 가치라도 함부로 책정할 수 없을 정도야. 그런데 내가 해보려는건 궁극적으로 금융 교육이지만 그 수단은 게이미피케이션, 게임을 활용한 금융교육인데 문제는 내가 게임보다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