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28x90
첫사랑과 사랑에 빠지고 결혼하고 가정을 꾸리는건 마냥 좋은 선택일까?
일단 나는 그 케이스가 아니기 때문에 함부로 좋다, 나쁘다 말을 못함.
그런데 통계적으로, 확률적으로는 아닐 확률라고 말할 수 있음.아마 99%가 넘는 확률로 그 여자는 내가 만날 수 있는 베스트 선택지가 아닐거임.
당연히 첫사랑이 통계적으로 내가 평생동안 인연을 맺을 '가능성이 있는' 여자중에
외모든 건강이든 지성이든 베스트는 아닐테니까...그러면 우리는 언제부터 결혼을 결심해야할까
대략 27살쯤임
--------------------------
이 책에는 최적멈춤(Optimal Stop Problem)이라는 개념을 설명함
어떤 선택을 하기 전에는 정보 수집이 필요하겠지.
예를 들어서 자취방을 구할때도
첫집이 가장 마음에 들 수도 있지만 다른 집도 좀 봐야
아 여기 채광이 좀 별로네, 수압이 별로네
차라리 1번이 낫겠다 하는 그런 느낌으로비교 대상이나 기준이 있어야
더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는거임그런데 문제는 탐색전을 하는 동안은 100% 기회비용이 손실된다는거임
마음에 드는 방이 나왔는데 넘겨버리면
진짜 좋은 방이라면 다른 사람이 먼저 계약해버릴테니까그래서 이 OSP 딜레마는 그러면 탐색 비용을 얼마나 지불해야하는가
그거는 총 기간의 37%라는 설명임예를 들어서 100개의 방을 보면 그중 37개는
아무리 마음에 들어도 그냥 넘긴다 생각하면서
조건을 필터링하고 정보수집에만 집중하라는거현실적으로 방을 100개 볼 수 없으니
최소 3개는 보고, 그중에 첫 집은 정보를 얻어가는데에 소진해서
두번째방을 판단하라는거임.물론 이 퀴즈의 전제는 떠난 기회는 다시 오지 않는다 이기 때문에
1번방, 2번방 제꼈더니 3번방이 정말 별로여도
일단은 3번방에 계약을 해야한다는 전제라
1번방 보고 2번방을 판단할지, 3번방에 베팅할지를 고르라는 식이긴 함그리고 문과들은 설명해줘도 이해 못하고
(사실 나도 정확하게 이해 못했음)
어려운 통계를 계산해보면
총 비용중 37%는 베팅에 써라는 사실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음예를 들어서 언제부터 결혼을 전제로 한 연애를 해야할까
내 인생에서 연애가 결혼까지 이어질 수 있는 나이를 20살~40살이라고 가정하면
- 15살에 만난 여친과는 결혼으로 이어지기 힘들겠다, 42살에 만난 여친은 사랑이 아닐 수도 있다 같은 가정-20살~40살의 20년 기간의 37%인 7.4년
즉 27.4살까지는 여자와 아내를 구분하는 탐색의 과정을 가지고
27.4살부터는 기존 여자친구를 아내로 맞이할지,
40살까지 새로운 여자를 계속 만나볼지 판단하면서
남자는 27.4살 이전에는 아무리 좋은 여자를 만나도 결혼하지 말라는 설명임이제 내 사견인데
여자가 출산과 육아가 가능한 나이를 20대~30대라고 가정하면
본능적으로 23.7살까지는 남자를 만나보면서
남편감을 판단하는 능력을 길렀을거라고 생각함그래서 나는 23.7살 ~27.4살 범위의 여자를 만나겠다는게 계획임... ㅋㅋ
27.4살을 맥시멈으로 보는 이유는,
여자의 본인 인생에서 기준이 잡혔을때
내가 최고의 선택지라는 판단을 내렸다는 말이니까
서로에 대한 배려와 존경심을 가진 결혼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전제로물론 사람일이라는게 어떻게 될지 모르기 때문에
갑자기 20살짜리랑 결혼할 수도 있고
30살이랑 결혼할 수도 있지만ㅋㅋ미국에서 유행하는 새로운 성적취향.jpg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미국에서 유행하는 새로운 성적취향.jpg - 인스티즈(instiz) 이슈 카테고리
비꼬기 강등
www.instiz.net
또 다른 영역으로는 개인 사업을 트라이해볼 수 있는
최소한은 30살인 이유도
수명을 80살이라고 가정했을때
그중 37%는 29.6살이라서이론적으로 그 이전의 나이에는
응용하는것보다 배우는것이 더 값지고
정보가 많을 수록 리스크가 줄어든다는 말이니까다만, 인생에도 체력 같은 감가상각의 영역과
재력 같은 피지컬, 취업이라는 기회비용의 손실도 있으니
가능한 20대 후반에 시작하고
30대에는 스스로 판단해보는게 낫지 않을까내가 살아온 모습을 돌아보니까
나는 회사다니는게 낫겠다, 창업을 해보는게 낫겠다인생의 갈림길은 30살이라는걸 본능적으로 알고 있던거임ㄷㄷㄷ
책 분량도 한 450페이지이고 생각하면서 읽다보니
다 읽는데 한 2주 걸린듯 ㅋㅋ그래서 유튜버들이 못다루나봐
인간의 수명은 30살인듯? :: 자본주의 빌런 (tistory.com)
인간의 수명은 30살인듯?
인타임이라는 영화가 있음. 내가 돈을 다른 재화와 바꿀 수 있는 가장 편리한 수단이기 때문에 돈이 많으면 좋다라고 이야기하는데 이 영화에서는 좀 더 노골적으로 돈과 시간을 섞어쓰는게 소
cap-villian.tistory.com
뒤에 정렬이나 캐시 (메모리), 게임이론, 무작위성 같은 내용들도 있는데
나같은 유사 이과 사람들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책시기가 이르긴 하지만 올해의 책으로 선정함
'생각 모음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어 공부하는 중 (말로만) (1) 2024.07.21 슬럼프 (0) 2024.06.29 서당과 집사가 부활할 수 있을지도 (5) 2024.06.15 경험은 교훈을 낳는다 (1) 2024.05.25 내 기준 믿고 거르는 책 (4) 2024.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