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문해력
-
문해력은 인간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임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3. 1. 29. 16:36
https://biz.chosun.com/topics/topics_social/2023/01/29/CAXNZJYC3FGFPEB6MBEBBTDHQ4/ 키오스크에서 “어떻게 주문하나요?”… 디지털 교육으로 어르신 돕는다 키오스크에서 어떻게 주문하나요 디지털 교육으로 어르신 돕는다 스마트폰·식당 키오스크·은행 계좌이체 교육 읽기·쓰기·셈하기 등 기초 문해교육도 지원 성인 4.5% 일상생활 필요한 문해력 biz.chosun.com 축구 볼때 이탈리아 사람들은 저렇게 손 모으는 제스처를 많이하고 저거 못하게 하면 의사소통 잘 안된다는 농담도 있잖아 그리고 미드 보면 가끔 사람들이 이야기할때 '고기가 부드럽네요' 라는 표현을 '이렇게 말할거에요 '완벽해'" 이런식으로 간접적으로 상황을 묘사하면서 말하는 장면이 있음..
-
대한민국 도서 암흑기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1. 11. 23. 23:58
거의 평생 독서를 하면서 살아왔다. 중고등학생때 교과서나 하이탑, 개념원리, 수학의 정석 같은 공부용 책을 '보는것' 외에도 과학잡지, 교양수학, 위인전 등을 꾸준히 읽어왔다. 대학교 2학년때부터 책을 공격적으로 읽기 시작했다. 과학고를 조기졸업하고 엘리트 과학자라는 자부심에 넘쳐 실험실 생활을 1년하다가 나는 이론을 빠르게 습득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재능이 있지 새로운 분야를 탐구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하는데에는 젬병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실망과 좌절에 파묻혀 그간 미뤄왔던 취미생활을 했다. 처음에는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읽을 심리학, 철학 등을 읽었다. 그리고 바이러스학, 해부학, 병리학, 교육학, 법학 등 advanced 된 도서를 읽었고 다시 동화와 만화, 잡지, 소설도 가리지 않고 읽었다. 어려서..
-
대한민국의 빈부격차 가속화 -1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3. 30. 21:42
당신의 문해력 - 1부 - 읽지 못하는 사람들 #001 - YouTube EBS다큐하나 소개해드림. 요즘 어린친구들이 문해력이 부족하다는 다큐인데 내가 농담반 진담반으로 글쓰기, 언어교육을 해야한다고 주장했음. 요지는 언어를 읽고 이해해야 생각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자신의 주장도 하고, 고치거나 다듬을 수 있는 고차원의 인간이 된다는거임. 그런데 문제는 아이들이 아에 글을 모른다는거임. 과거에 한번 이야기했던것 처럼 글자는 읽을수 있는데 글을 이해하지 못한다는거. 정보를 습득하는 수단으로써 과거의 글 읽기를 통한 능동적인 수단이 유튜브를 통한 수동적인 수단이 되어버려서 이제 이 아이들은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잃어버리는거임. 더 큰 문제는 뭐냐. 이렇게 되면 내가 이야기한 것처럼 "글읽기가 중요하다"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