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모음/돈 생각
-
코리아 디스카운트 소신발언 - 2. MZ에 거는 희망생각 모음/돈 생각 2024. 2. 16. 21:50
1. 코리아 디스카운트와 MZ세대 코리아 디스카운트. 주주친화적이라는 말은, 기업이 본질에 최선을 다한다는 말임. 모든 판단의 잣대는 기업이 돈을 벌 수 있는 행위였는가 로 평가하겠다고. 반대로 이야기하면 '논리적으로는' 저평가의 원인이 회사가 벌 돈을 니들이 다 삥땅 치는게 아니냐는 해석임 그래서 9시 18시 근무하면서 야근수당을 안주면서 직원의 고혈을 빨아먹으면 돈은 잘 벌겠지만 옳은 판단이 아님. 블랙기업으로 낙인 찍혀서 더 훌륭한 인재가 들어오는 길을 막는거니까. 그렇다고 10시 출근 17시 퇴근한다면 직원이 루팡하는 걸 방치한다거나, 인건비를 효율적으로 쓰고 있지 못하다는거니까 기업의 가치는 낮게 평가받겠지. 물론 사내 취업규칙이나 인재의 역량에 따른 근로 계약서 작성 같은 부분을 고려해 납득할..
-
코리아 디스카운트 소신발언 - 1. 해결 불가능생각 모음/돈 생각 2024. 2. 16. 20:52
몇달전부터 다루고 싶었던 내용임 거두절미하고 바로 시작하면 난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대한민국 초고속 경제성장의 부작용으로 한 20년 내에는 절대 해결 안되는 흉터라고 생각함. 1. 기업의 존재 목적과 본질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읽어보고 계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기업의 본질은 수익 창출임. 사람을 뽑고, R&D에 돈 쏟아붓고, 기프티콘 뿌려가면서 마케팅하고, 심지어 탕비실에 간식을 두는것이나 출퇴근에 근무 복장을 자유롭게 하느냐 마느냐 하는 등 거대하고 소소한 모든 의사결정 하나하나가 돈을 벌기 위한 목적으로 귀결된다는 말임. 그런 입장에서 우리에게 불합격 통보를 해주는 인사 담당자들도 회사에 고용되어서 회사가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고용된거고, 갑의 위치에 서있는 구매팀이나 을의 위치에 서있는 영업팀, 심지어..
-
일뽕 입덕기 下생각 모음/돈 생각 2024. 1. 28. 23:56
결국 배운게 도둑질이라서 일본에 (만약) 넘어간다면 결국 자금 굴리면서 금융으로 먹고 살아야하지 않을까 생각했음. 귀요운 스시녀랑 애니보러다니는 것도 중요하지만 금융시장이 어떻게 흘러가는지가 제일 궁금하거든 먼저 일본 주식시장을 좀 봤는데 대략 알다시피 일본은 잃어버린 30년 시절로 경제 성장이 멈춘 상태임. 몇년째 아베노믹스의 마이너스 금리라는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는 정책을 펼쳤지만 이게 금융시장과 실물경제가 동떨어져있다고 생각해서 효과가 없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느낌임. 그렇게 경기 부양한다고 해놓고 최저임금 1엔 (당시 10원, 지금 9원 ㅋ) 올리는데 예민하게 굴면서 손발이 안맞는거임. 그러다보니 정책적인 금융시장 조절은 인건비도 좀 오르고 물가도 오르는 실물경제에 반영이 안되고 글로벌 금융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