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대나무숲
-
경험을 교육 시키는게 가능할까. feat 코드스테이츠생각 모음/그냥 떠오르는 생각 2021. 3. 23. 23:47
오늘 코드스테이츠 김인기 대표님, 구일모 대표님이랑 2시간 정도 수다 떨다왔음. 코드스테이츠는 코딩 교육 부트캠프로 코딩 교육을 먼저 무료로 받고, 직업을 가졌을때 그 급여를 쉐어하면서 교육에 대한 은혜를 갖는 기업인데. 스타트업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잘나가징ㅋㅋ 코딩부트캠프 | 코드스테이츠 - 비전공생도 개발자가 될 수 있습니다 (codestates.com) 코딩부트캠프 | 코드스테이츠 - 비전공생도 개발자가 될 수 있습니다 코딩부트캠프를 찾는다면? 개발자로 커리어 전환을 위한 책임있는 코딩 교육 기관! 서비스 기획자, 그로스 마케터,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등 다양한 전문 커리어에 도전하세요. 취업 성공의 후기 www.codestates.com 내 친형이 코드스테이츠에 직원이기도 하고 마침 금융에 관심이 ..
-
자본주의 온라인 - 스페셜리스트 비즈니스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3. 20. 23:54
내가 감각적으로 돈이 된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스페셜리스트 비즈니스임. 오늘 카톡으로 어떤 주식 클래스 제보를 받았는데 홍보해주고 싶지 않아서 일단 다 가렸음. 가격은 대충 45마넌 코스, 50마넌코스, 45마넌 코스로 풀코스로 들으면 한 150마넌 정도에 10명만 모을거라고 함 그러면 월인지 주인지 잘 모르겠지만 1500마넌 매출이 보장되는거임. 주식 강의가 150마넌인데 이걸 들을 사람 10명은 있겠지. 그러면 저 강의를 할때 굳이 100명이 들을 수 있는 강의실이 필요할까. 꼭 범용성을 필요로 하는 유튜브 채널이 필요할까 이말임. 이런 비즈니스 전략은 생각보다 엄청 많음. 1. 올림피아드, 해외 대학 등 고액과외. 어차피 난 1000만원짜리 10명만 받을건데 굳이 20명 들을 수 있는 강의실이 필요함..
-
애널리스트 직업 대전망 - 2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3. 20. 19:29
솔직히 망했다고 생각함. 비즈니스 모델로 보면 07~08년대에 기관(법인)들이 벌어다 주는 돈이 개인들이 벌어다 주는 돈보다 많으니까 애널리스트들의 모든 업무는 기관들의 서비스에 집중되어있었음. 그런데 이제는 더이상 그때의 애널리스트가 아님. 1. 개인들이 돈이 너무 많은거임. 신용/미수도 쓰면서 이자도 많이내고 매도 담보대출도 많이하니까 개인들의 영향력이 기관보다 많아진점도 있고. 2. 정보가 너무 저렴해짐 증권사에서 서비스 측면에서 써내는 보고서 경쟁이 과열되기도 하고.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증권사 애널도 모르는 정보를 개인들이 수집하고 재해석 하는 능력도 생기고. 3. 선배들이 배신함 애널리스트 출신이 나가서 자기 이름걸고 벤처캐피탈이나 투자자문사, 유튜브 채널 같은걸 열때. 결국 경쟁력은 또다시 보..
-
경제적 자유를 느끼지 못하는 부자들생각 모음/돈 생각 2021. 3. 20. 14:10
결론부터 말하자면 "돈은 연료다" 임. 최근에 돈 많은 사람들을 좀 만나봤음. 적게는 1억에서 많게는 30억대까지. 당연히 근로소득을 번 사람은 없었고 코인, 주식, 부동산 등 투자를 잘 한 사람들이었음. 그 사람들이야 내 이야기를 지켜보고 궁금해하는 사람들이라서 내가 을이 되는 관계는 아니고 어쩌면 내가 갑이 되어서 어 그날 시간되는데 회사 근처까지 와줄 수 있니 하는 상황이긴 한데 내가 꼭 물어보는게 있음. 이 질문의 중요성은 과학고 부심편에서 다뤘는데 "돈을 많이 모으면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요?" 였음 10년이 지나고 깨달은 과학고 자부심 :: 자본주의 빌런 (tistory.com) 10년이 지나고 깨달은 과학고 자부심 학벌이 전부는 아님. 나도 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못갔으면 과고 부심 부리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