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대나무숲 - 2
-
교육 사업이 확장되면 꼭 하고 싶은 영역 - 2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2. 28. 21:38
글 읽기와 관련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자면 글자를 읽는 것과 책을 읽는 것은 다름. 우리 학창시절에 졸면서 공부해본 기억이 있을거임. 정신을 못차릴 정도로 졸때 집중력을 풀가동하면 글자 자체는 읽을 수 있음. 심지어 밑줄을 그은 흔적도 있으나 내용은 머리에 들어오지 않고 기억도 안남. 게슈탈트 붕괴라는 인터넷 용어가 있음. 꼭 저런 자아 붕괴나 카오스적인 현상 말고도 단어 수준에서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현상임. 가령 평소에 자주 접하지는 않는데 종종 접하는 단어들 "가령", "봉투", "절단" 이런 단어들을 계속해서 반복하고 생각하다보면 처음에 떠올리는 단어의 본질이나 현상이 기억나지 않고 낯설게 느껴진다는 것도 비슷한 효과가 아닐까 싶음. 이런 시간이 지속되고 질질 끌리면 결국 글을 쓰는..
-
교육 사업이 확장되면 꼭 하고 싶은 영역 - 1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2. 28. 21:17
글쓰기와 글 읽기, 비판적 사고 등 언어영역임. 최근에 주변에서 글쓰는 사람들이 많아졌음. 천영록 대표님이야 주식을 떠나서 워낙 배우신 것이나 생각하는 깊이가 다르니까 당연히 존경하는 분이고, 내가 짝사랑하는 샐리도 말을 좀 거칠게 해서 그렇지 인사이트 뿐 아니라 가독성이나 어휘, 비유도 수준급임. 글 쓰는걸로 먹고사는 사람들보다 더 훌륭하다고 생각함.여튼 내가 그 사람들한테 비빌 수준이나 남을 평가할 만한 위치에 올랐다고 생각하지는 않음. 당연히. 페이스북에만 해도 5년전 오늘, 3년전 오늘, 혹은 1년전 오늘만 해도 졸라 부끄럽고 아 씨1발 이때는 이게 졸라 대단한 글인마냥 썼네 하고 부끄러워함ㅋㅋ 대학 자기소개서나 어느 기업 입사지원서도 그렇고. 그런데 나마저도 남들의 글을 읽을때 좀 많이 아쉽다는..
-
꿈을 이뤄버린다는것 - 3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2. 26. 01:02
꿈을 잃어버릴 수도 있지만 꿈을 이뤄버리는 것도 있음. 개그맨 유세윤이 어느날 엄청난 우울감에 빠졌다고 하는데 그렇게 바라던 꿈인 개그맨이 되었는데 앞으로의 미래가 궁금하지 않았다는거임. 앞에서 이야기했던거랑 비슷한 맥락인데 사람이 살면서 꾸는 꿈에는 여러가지 목적이 있을거임. 나처럼 잘난척 하는 하루하루를 좋아할 수도 있고, 넘치는 ego를 여기저기 분출하고 싶을 수도 있고, 따라오게 될 돈이나 미녀, 명예, 권력, 명성 뭐가 되었든. 그런데 그게 막상 손에 들어오면 엄청 우울해지는거임. 어쩌면 평생을 살아온 이유를 잃어버리는거니까. 가끔 그런거 있잖아. 내가 그렇게 기대하던 삼성에 입사했는데, 꿈에 그리던 여자와 사귀고 같이 자기도 하고 결혼도 했는데 더 이상 행복하지 않는것. 상실감임. 특히 나처럼..
-
꿈을 잃어버린다는것 - 2자본주의 대나무숲 - 2 2021. 2. 26. 00:35
다시 원래이야기로 돌아와서 내가 꿈을 잃어버렸다는게 빼앗겼다는 느낌을 받았었음. 고등학생때 뉴스를 보는데 돼지장기를 원숭이였나 강아지였나 하여튼 이식에 성공했다는거임. 그러면서 아 씨1브랄 나는 사람 장기를 만들어서 이식하는게 꿈이었는데 이걸 누가 이뤄버렸다면 내 꿈을 잃어버린거임. 꿈을 이뤄서 내가 부자가 되겠다는 뜻 보다는 아프지 않을 권리 흑! 이런 느낌이었기 때문에 좋긴했는데 꿈을 잃어버렸다기 보다는 빼앗겼다는 생각이드는거 물론 계속 할 수도 있었음. 꼭 간이 아니라 신장, 각막, 피부등 다양한 장기를 할 수도 있었고, 더 좋은 소재를 개발해서 더 저렴하게 공급할 수도 있었고, 부작용이 더 낮거나 수명이 오래가는 인공장기를 개발할 수도 있었음. 그런데 그냥 당시에는 어린 마음에 빼앗긴것 같은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