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15. 부록 : 이해가 안되면 외우지도 마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 2. 20. 23:50
(목차) 11. 부록 : 이해가 안되면 외우지도 마 당연한걸 당연하게 설명하던 철학적, 과학적 접근이야. 경제는 A면 B이다 라는 정답이 있는 학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더라를 이론으로 모아낸 학문이잖아. 그래서 우리가 해왔던 내용들을 관찰하니 당연한 사실을 당연하게 해석 한 것 같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관찰한 내용들이 지역이나 국가, 문화에 따라서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했지. 나도 이 책에서 구체적으로 매몰비용, 필립스곡선, 샤프비율, 비교우위, 독점과 경쟁과 과점, 경제통계, GDP, 기업의 재무 같은 어려운 내용을 직접 다룰 수는 없었지만 몇가지 당연한 로직들을 이해하고 있으면 받아들일 수 있을거야. 그런데 한편으로 나는 청소년 금융 교육에 대해서는 절대 반대하는 편이야. ..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14. 수익의 공식, 수익 ∝ 확률 ∝ 위험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 2. 16. 23:50
(목차) 10. 수익의 공식, 수익 ∝ 확률 ∝ 위험 투자에서 많이 들어봤을 내용인데 근본적으로 수익 (리스크)와 확률의 관계식으로 봤어. 잠깐 어려운 수학 이야기 또 하자. 기초 수학도 못하면서 경제 공부한다고 까불면 중대장은 실망한다. 기대 수익은 어떤 행동을 했을때 확률적으로 내가 기대할 수 있는 수익의 크기야. 예를 들어서 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2배, 뒷면이 나오면 꽝이라는 게임이 있을때 1000원을 걸면 50%의 확률로 2000원을 딸 수 있고(원금 고려시 +1000원), 50%의 확률로 0원 (원금 고려시 -1000원 손실) 이겠지. 그러면 1000원의 50%를 기대할 수 있고 -1000원의 50%를 기대할 수 있으니 기대값은 0원의 순손익인거야. 하나마나인 게임이지. 그런데 이때 앞면..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13. 경제는 연속적이다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 2. 13. 23:50
(목차) 9. 경제는 연속적이다. 연속적이다, 연속적이지 않다는 표현이 과학과 친하지 않은 사람들한테는 좀 낯선 말일것 같아. 먼저 연속적이지 않다는 말은 계단 같은거야. 영국을 배경으로 하는 해리포터 시리즈에는 마법세계로 가는 방법이 킹스크로스역의 9와 3/4 승강장으로 돌진하는 방법이래. 나 나이 많은거 티났어? 그런데 우리가 9와 3/4 승강장이라는말을 이해하기 어렵잖아. 다른 예시로는 괴담 같은데에서 1층, 2층, 3층이 아니라 3.5층으로 가라 뭐 이런느낌. 연속적이라는 말은 마치 물 온도처럼 섭씨 30도씨, 31도씨 사이에는 30.5도씨도 있고 30.123456도씨도 있고 그런 느낌이야. 이걸 구분짓는 접근은 양자역학, 물리화학에서 나오는 내용이야. 우리 초등학생때 사과 1.5개, 마이너스 2..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12. 시간도 돈이다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 2. 9. 23:20
(목차) 8. 시간도 돈이다 은연중에 내가 강조한 요소가 있는데 눈치챘어? 바로 시간이야. 경제는 시간이라는 변수 때문에 제로썸이 아니야. 당연한 현상인데 의도는 솔직히 모르겠어. 아직 검증되지 않은 내 가설 소개할게. 현상에 대한 이유는 간단해. 중앙은행이 끊임없이 화폐를 찍어내고 인플레이션 때문이야. 끝. 앞에서 이야기했듯, 돈은 당분간 구매력, 가치 이런거 말고 ‘화폐’로 보자. 구리 코인 기억나지? 아무튼 은행이 왜 끊임없이 화폐를 발행할까 생각해봤어. 설마 루팡 같아서는 아닐테고 물리적으로 화폐가 닳고 불에 타고 물에 젖어서 소멸하는 부분을 방어하기 위해서라고 하면 시중에 풀지 않고 대기해 놓으면 되는데. 그치. 내 생각은 편의성이야. 이전 글에서 인플레이션 어쩌고 캔콜라 어쩌고 하면서 화폐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