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0. 저자소개와 목차 :: 자본주의 빌런 (tistory.com)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0. 저자소개와 목차 저자소개 저 아시죠? 이참에 정식으로 소개드립니다. 2009 ~ 2011 서울 세종과학고 (전교 꼴지함) 2011 ~ 2016 UNIST (생명, 화학 전공함 경제 아님) 2016 ~ 2017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앙법의학센터 (계약직 cap-villian.tistory.com 1. 자꾸 말 바꿔서 미안합니다. 그런데 어차피 무료로 풀었잖아. 그런데 무료라고 막 갖다쓰라는 말은 아님. 내 글 들을 지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을거고. 들키면 바로 전문 비공개 함. 고소는 물론이고 법 밖의 방법을 활용해서라도 의지를 보여주겠음 원작자인 나한테 허락을..
자본주의 대나무숲
-
내가 글을 천박하게 쓰는.EU
결론부터 말하면 글들을 읽으시라는 내 배려임. 고등학교 친구들이랑 톡하면서 슈선생님 이야기가 나옴. https://youtu.be/9k8VcV88Le0?si=cGf39NjyZ290bul- 나도 주식하는 사람이라 이럴수도 있고 저럴수도 있다, 나도 틀릴수 있다, 이런 말 하지만 절대 양보 못하는 신념이라면 독서의 중요성임. 슈카형도 무협지라도 읽어라, 라노벨도 괜찮다 라고 했듯, 나도 정 안되면 소설책이나 만화책이라도 읽어라 (그림만 보1지말고). 상상력, 창의력, 사고력과 추리력 등 모든 '지능'은 글 읽기에서 시작된다는 점은 절대 진리라고 생각함. 그리고 나름 21세기 마지막 지식인 세대라는 자부심이 있어서 내가 쓰는 글들은 나의 흔적이면서 동시에 누군가에게 지식이 된다는 부담감도 있고, 건전한 토론은..
-
내가 하는 금융 교육 후기 모음
지난 1학기 유니스트 리더쉽 강의 이후 중고등학교 학교 일정이 어쩌다 많이 잡혀서 돌아다니고 있는데 강의 후기 몇개 받아서 공개함. 난 돈 자체에 대해 강의를 하고, 금융은 철학이다, 정답이 없다 같은 소리 하는 사람답게 일종의 철학, 인문학 강의를 함 예를 들어서 이런거임 내가 10마넌 넣으면 정부가 10마넌을 더 넣어주는 청년 적금이 있다. 8% 대출 받아서 적금 드는게 현명한 판단인거? 페이커는 손가락 다치는것보다 그냥 게임하는게 낫다. 페이커의 손가락 보험은 뭔가. 가입하고 보니 돈 빨아먹는 사기인가? 모든 보험이 다 그런가? 100만원이 있다 신용카드를 쓸때와 체크카드를 쓸때 내가 가장 많이 돈을 갖고 있는 (쉽게 이득보는) 방법은 어느쪽일까 그리고 이때 몇가지 절대 원칙이 있는데 1. 중학교와..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0. 저자소개와 목차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01.09 22:09
저자소개 저 아시죠? 이참에 정식으로 소개드립니다. 2009 ~ 2011 서울 세종과학고 (전교 꼴지함) 2011 ~ 2016 UNIST (생명, 화학 전공함 경제 아님) 2016 ~ 2017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앙법의학센터 (계약직임) 2017 ~ 2018 인포스탁 (주식 여기서 많이 배움, 리딩방 아님) 2019 ~ 2021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제약바이오 RA, 사고뭉치) 2021 ~ 머니아카데미아 (금융 교육하려고 설립한 회사인데 집에서 트레이딩만 함) CONTENT 여는말 1. 경제? 아니 금융 2. 돈의 정체 3. 경제적 자유... 역사적으로 무식한 소리 1화 과학고생의 경제 노트 1. 경제는 이기적이다. 2. 돈은 꼼수를 좋아한다. 3. 모든 판단은 자유 의지로 이루어진다. 4. 경제 사이클..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1. 여는말, 지금부터 내가 하는 이야기 잘들어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01.09 23:59
지금부터 내가 하는 이야기 잘 들어. 잘 들으라는 말은 몇쪽 몇번째 문단에 무슨 말이 나온다라고 토씨하나 빼놓지 않고 달달 외우듯이 들으라는 말이 아니야. 차라리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마디도 맞는 말이 없다. 그 이유는, 내가 배워온 지식과, 나의 경험과, 역사와 내 계좌가 증거다. 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철저하게 한마디 한마디 반박하면서 비판적으로 보라는 말이야. 나는 이런 이야기를 풀고 강의하면서 비윤리적이다. 사이비 종교 같다, 돈에 완전히 미친 사람 같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동시에 기분은 나쁘지만 구구절절 맞는 이야기들이다. 내 주변 사람은 모르겠지만 나는 동의할 수 있다. 돈에 대해 완전히 통달한 사람 같다 라는 이야기도 들었어. 그래서 나도 내가 펼쳐낼 이야기들이 틀린말이라고 생각 안 해..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 2. 여는말, 경제? 아니 금융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01.10 01:00
(목차) 1. 경제? 아니 금융 아담 스미스라는 사람 알아? 내 친구는 아니고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하고 우리가 맛있는 빵을 먹을 수 있는 이유는 빵집 주인의 자비심이 아니라 (돈을 많이 벌고 싶은) 빵집 주인의 이기심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한 '국부론'의 저자야. 후일담으로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은 어떻게 해야 한 나라가 강해질 수 있을까에 대해 연구한 철학책이지 경제학 책이 아니라고 본인도 죽을때까지 설명했다고 해. 경제학에 무슨 철학 같은 소리를 하냐고 물어보겠지? 왜 그런걸 따지고 있냐고 돈 버는 방법이나 알려달라고. 경제학이 철학임을 정의한 이유는 정답이 없기 때문이야. 간단하지만 심오한 아동착취의 역사 한번 살펴보자. 우리 아동, 청소년은 보호해야할 존재라는거 누구나 동의할 수 있지? 그런데..
-
과학고생의 금융노트 -3. 여는말, 돈의 정체과학고생의 금융노트 2024.01.11 23:50
(목차) 2. 돈의 정체 이번에는 철학적으로 돈의 정체에 대해 고민해 볼거야. 행복한 상상하나 해보자. 로또에 당첨되었어. 20억이든 20만 달러든 아무튼 돈을 왕창 가지게 되었고, 현금이든 계좌든 아무튼 가진상황이야. 그런데 문제가 있는데 세상이 멸망했어. 그래서 배낭 하나 메고 서울 한복판을 방황하는 중이야. 그러면 과연 그때도 돈이 중요할까. 차라리 생수통이나 통조림 같은게 더 낫지 않을까? 어차피 들고 있어봐야 땔감이나 연료 밖에 안될거 아니야 곰팡이 피어서 호흡에 방해만 될걸? 게임으로 생각해보면 인벤토리 가방 같은거야. 50메소짜리 체력 포션 100개씩 들고 다닐 수도 있지만 기동성을 고려하면 5000메소를 들고 다니면서 마을 상점에서 필요할 때 사는게 낫잖아. 그리고 인생게임에서 나라는 캐릭..
일상의 생각 모음
-
나스닥 차트만 보고 전망하기
어차피 하루에 10% 씩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장기전략은 별로 중요하지 않고단기적으로 강한 반등 일단 먹고 나와야하는데저점이 언제인가를 봐야함 4월 7일 반등이 나올 수 있는 이유1. 주봉 120일선 지지2. 지난해 엔캐리 트레이드 공포로 빠졌던 선 지지3. 17500 지지 저항 관점 지지 (추세 x)4. 주봉 꽉 채웠으면 사람들 주말간 머리 식히면서 아 너무 싸게 팔았다 하면서 삼5. 달러인덱스 깜짝 되돌림 4월 7일 더 빠질 수 있는 이유1. (지수상) 거래량 급등2. 짧은 아래꼬리3. 4월 4일 금요일 장초 반등했던 윗꼬리4. 아직 안나온 플래시 크래쉬 5. 3공 때려박기 (사케다 3법) 중 갭이 2번 밖에 안나옴https://cafe.naver.com/withstock/65292 차트 활용편 -..
-
코인 시장은 어디쯤일까
결론부터 말하면 난 아직 '이번 시즌'의 종료는 아니라고 보고3단계 계절 중 두번째 계절이 끝나간다고 생각함 1. 시즌의 첫 계절 파동코인 시장에는 3단계의 계절이 있다고 생각함이게 무슨 엘리어트 이런 이론적인 이야기보다사회적으로 어떤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관점으로굳이 갖다붙이면 파동보다는 계절이 더 가까운듯해서처음에 파동이라고 쓰다가 중간부터 계절이라고 수정함먼저 첫 계절에는 저바닥에 있던 잡알트가 급등함 편의성 앞에 0.00 떼버리고 대충 60원~120원하는 그 가격(형광펜 칠한거)어차피 저가라고 써있는 8원 근처에는 못 삼호가도 없고 유동성도 딸려서 사고 싶어도 못사고어떻게 열심히 샀다고 하더라도 팔지도 못함게다가 8원에 산거 호가 4칸 밀리면 바로 반토막인데 어케삼아무튼 저런 코인들이 '바닥대비 ..